- 픽셀을 잡아주는거네요. - 레이아웃을 전체 픽셀에 맞추는 반올림 동작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값을 가져오거나 설정합니다. - 반올림을 사용하여 전체 픽셀에 맞게 렌더링 및 레이아웃을 적용하면 true이고, 그렇지 않으면 false. - 이 속성은 읽기/쓰기 속성입니다. 기본값은 true입니다. - 적용대상 : Border Canvas Ellipse Glyphs Grid Image InkPresenter Line MediaElement PasswordBox Path Polygon Polyline Rectangle StackPanel TextBlock TextBox - 픽셀을 잡아주는거네요. - 렌더링을 수행하는 중에 장치 관련 픽셀 설정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값을 가져오거나 설정합니다. - 장..
안녕하세요. 반짝 반짝 빛나는 성남미입니다. 요즘 윈도우7폰에 관련한 이슈가 많은데요, Expression Blend에서 보여지는 Window7 Phone의 모습을 간략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http://windowsteamblog.com/windows_phone/b/wpdev/archive/2010/05/05/windows-phone-developer-training-kit-april-refresh.aspx 이곳에서 다운받으시면, Expression Blend에서 Window7 Phone의 개발환경이 생깁니다. 다운 받으셔서 설치 하셨나요? 그러면 Expression Blend를 켭니다. New Project.를 누릅니..
안녕하세요. 반짝 반짝 빛나는 성남미입니다. BooleanToVisibilityConverter를 이용해 라디오버튼으로 쉽게 Visibility를 제어해 보겠습니다. 먼저 화면을 준비합니다. 라디오 버튼을 3개 나열해 놓고 각각 이름을 넣습니다. 각각 라디오 버튼을 누르면 나올 도형을 3개 넣어줍니다. 세개의 도형을 우선 안보이게 Collapsed를 잡아 줍니다. Rectengle 레이어를 잡고 Visibility 오른쪽 네모를 누릅니다. Data Binding을 누릅니다. Element Property를 누릅니다. ① Rectengl의 Visibility 제어할 라디오 버튼(rdb_Rectengle)을 누르고, ② IsChecked로 설정합니다. ③ 번을 누르면 설정창이 활성화 됩니다. Value co..
안녕하세요. Making Clipping Path와 Gradient Opacity Mask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Making Clipping Path 먼저 이미지를 준비합니다. 그 위에 보여질 영역을 [Ellipse]로 잡습니다. Object and Timeline 창에서 이미지와 [Ellipse]를 함께 선택한 뒤, 오른쪽 마우스 > Path > Make Clipping Path를 선택합니다. 원하는 [Ellipse] 영역 안에 이미지가 쏙 하고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칼날처럼 날카로운 면이 아닌 부르럽게 원을 그리며 이미지의 영역을 표시하고 싶습니다. 그럴 때 쓰면 좋은 것이 바로 Gradient Opacity Mask입니다. 2. Gradient Opacity Mask 처음으로 돌아와 다시 이미..
방법 1. LayoutRoot를 ScrollViewer로 감싸기 LayoutRoot를 ScrollViewer로 감쌌습니다. 따로 지정해 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스크롤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법 2 SilverlightApplication(=파일명)\SilverlightApplicationSite\Default.html을 열어서 ▼▼▼▼▼▼▼▼▼▼▼▼▼▼▼▼▼▼▼▼▼▼▼▼▼▼▼▼▼▼▼▼▼▼▼▼▼▼▼▼▼▼▼▼▼▼▼▼▼▼▼▼▼▼▼▼▼▼▼▼▼▼▼▼▼▼▼▼▼▼ 100%의 값에 익스플로러에 띄울 정확한 값을 입력해 줍니다. 그렇게 입력해 준 값을 넘어가면 익스플로러에서 알아서 스크롤을 만들어 줍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스크롤이 생깁니다.
안녕하세요J 반짝 반짝 빛나는 성남미입니다. 오늘은 화면안의 영역을 자유자제로 움직일 수 있는 GridSplitt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면 영역을 나누기 위해 ColomnDefintions의 오른쪽의 … 버튼을 클릭합니다 Add another item을 눌러 행을 두개 추가해 주고 각각의 width값을 세팅해 줍니다 화면의 영역이 이렇게 두개로 나눠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열을 세팅해 보겠습니다. RowDefintions의 오른쪽의 … 버튼을 클릭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열을 원하는 개수만큼 추가합니다. 화면을 보면 두개의 행과 세개의 열로 나눠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아보기 쉽게 원하는 영역을 보더로 색을 넣어주고 텍스트 블록으로 표시를 해주었습니다 자 이러면 GridSpli..
세터프로퍼티를 잘 정의하면 코드가 아주 깔끔함 1. 클래스의 개념, 두께나 RecognizeAccesskey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 프로퍼티로 뺄 수 있다.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서 세터프로퍼티로 빠지는지 확인해 보면 빠지는지 안빠지는지 구분이 가능함 2. 기본 세터프로퍼티는 지우지 않는게 좋다 추가는 자유로움 3. Value="{x:Null} / Value="Transparent" 다른점은?? Null은 아무것도 없는 빈 공간이고 Transparent 투명이지만 자리 영역은 차지 4. 세터벨류로 디테일하게 작업 가능함 5. x:Key="S_tgbChangeCompass" 엑스키의 이름을 안주면 해당 타겟타입은 모두 적용되는 효과가 된다 6. 리소스로 빼지 않고 레이아웃 패널에 레이아웃.Reso..
안녕하세요! 반짝반짝 빛나는 성남미입니다 :-) 조금은 어렵지만, 윈도우 사이트를 새창으로 띄우거나, 버튼을 눌렀을 때 원하는 xaml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화면이 나타날 영역을 보더로 잡아주고 frame으로 이름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btn_1, btn_2, btn_3버튼 3개와 Rbtn_1, Rbtn_2, Rbtn_3 라디오 버튼3개를 준비합니다. 오른쪽 마우스 클릭 > Add New Item 클릭, 유저컨트롤을 추가해 줍니다. 이름을 각각 Test_1.xaml, Test_2.xaml, Test_3.xaml으로 생성합니다. 알아보기 쉽게 각각의 xaml을 색깔을 넣어주고, 이름을 넣어 구별하기 쉽게 했습니다. btn_1의 레이어를 잡고 오른쪽 Properties 탭을 클릭한 뒤 오른쪽 ..
안녕하세요! 반짝반짝 빛나는 성남미입니다 :-) 1번째는 가로 중앙 정렬만 했습니다. 글자가 들쑥날쑥 올라가 보입니다. 2번째는 중앙 정렬한 파일을 상하 마진 값을 조정하고, 폰트 사이즈를 조정해 비슷한 라인으로 보이도록 수정했습니다. 폰트가 같은 라인에 있지만 둘쑥 날쑥 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 폰트를 써야 하는 경우라면 하나하나 마진 값을 맞춰주는 방법 밖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값이 변화되지 않는 고정된 폰트라면 png로 변환해 이미지로 넣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